스터디 미/마음 건강

[드라마 정신건강] 우영우 변호사는 자폐스펙트럼 맞는 건가요?- 아스퍼거 증후군

공남녀_스텔라 2023. 12. 15.

안녕하세요 공남녀 스텔라입니다 오늘은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은 2022년 큰 화제를 모았던 ENA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기억하실텐데요, 우영우 변호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앓고 있음해도 불구하고 가족 및 친구, 동료들의 따뜻한 지원속에 일과 사랑 두마리토끼를 다잡으면서 우리의 마음을 훈훈하게 해주었습니다.

그런데, 법전을 줄줄 외우는가 하면 고래에 관심이 많아서 일반인들도 과연 세상에 저런 고래가? 싶을 정도의 고래들에 대해서도 생물학자 수준으로 아는 우영우변호사, 정말 자폐스펙트럼 맞는건가요??

 



아스퍼거 증후군이 뭔가요?

아스퍼거 증후군은 오스트리아 의사인 한스 아스퍼거가 1944년에 처음으로 명명한 증후군으로 전반적 발달 장애의 한 유형으로 사회적 상호교류나 행동장애 등과 같은 자폐성 장애는 보이지만 언어 및 인지발달을 비교적 정상적인 특징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최근에는 자폐스펙드럼장애라는 통합된 명칭으로 불리게 되면서 공식진단명으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용어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이들은 자폐스펙트럼장애에 속하기는 하지만 언어, 인지발달에 있어 유의한 정도의 지체는 없습니다. 또 특정한 주제에 흥미가 생기면 몰두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특정분야에서 뛰어난 사람도 있습니다. 언어발달은 비교적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억양에 있어 밋밋하거나 단조롭거나 과장되고 현학적이거나 우회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문맥에서 벗어난 부적절한 구를 반복하거나 기묘한 말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머나 은유적 표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스퍼거 소아 청소년의 경우 얼굴 표정과 제스처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고 타인의 몸놀림이나 표정을 읽는 것이 어려우며 사람과 눈을 잘 맞추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상호교류를 자연스럽게 해 나가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아이가 아스퍼거 증후군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먼저 정신과적 면담을 통해 의학적 과거력과 발달력을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평가하게 되고 신경심리검사, 추가적인 내외과질환의 평가도 아동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시행되게 됩니다. 아울러 기질적인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MRI, 뇌파검사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가 가능한가요?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약물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포괄적인 접근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심리/정서적 개입, 인지치료, 사회성 기술 훈련, 행동수정치료, 교육 등이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꼭 상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댓글